공부방

사군자 중 하나로 작지만 강한 꽃, 국화

젤리me 2023. 2. 22. 17:50
반응형

 

국화, Chtysanthemum, Asteraceae

국화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아르헨티나의 한 지역에 있는 바위에 남아있는 화석에서 발견되었다. 국화는 관상용, 식용으로 오래전부터 널리 재배되어 특히 원예품종이 많은 식물로 알려져 있다. 꽃의 색상도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 모양 등도 각양각색이나 일반적인 꽃의 지름에 따라서 18cm 이상은 대륜, 9cm 이상은 중륜, 그 아래 크기로는 소륜으로 구분한다. 또한 개화한 형태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하나의 줄기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스탠더드 국화는 흔히 제례나 장례식에 사용되는 흰색 국화로 국내 유통되고 있다. 다른 형태로는 하나의 꽃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을 피우는 스프레이국화는 특정 목적을 갖지 않아 꽃꽂이와 꽃다발용 등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화는 따뜻한 봄이나 여름에 꽃을 피우는 다른 꽃들과는 다르게 비교적 늦 가을에 첫 추위를 이겨내고 낮은 온도에서 꽃을 피우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은둔하며 절개를 지키는 사군자중 하나로 군자의 덕과 학식을 갖춘 사람의 인품에 비유하기도 한다. 

 

국화는 동양을 대표하며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기도 하다. 원산지를 중국으로 보기도 하나 역사가 길어 여러가지 설이 있다. 최초의 재배는 중국 당나라 이전으로 추정된다. 종류가 많아 관상용으로도 보고 식용으로 작은 꽃송이들을 이용해 차와 탕으로도 우려마실 수 있다. 또는 술로 만들어 중양절에 즐겨마시기도 했는데 특히 고혈압이나 숙취, 두통 등 신경순환계 질환에 효능이 좋다. 이외 국화는 진달래처럼 화전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어 그 활용도가 좋다. 원예종으로 재배되고 유통되는 국화는 줄기가 곧고 튼튼하나 우리나라 산지 곳곳에서 야생으로 피는 국화는 줄기가 가늘고 크기가 작다. 가정에서 키우는 경우 기본적인 생육습성이 강하여 꽃을 피우기 용이한 편이다.

 

굳은 강인함과 성실함 그리고 국화꽃

옛날 옛적 장방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장방은 어느날 그의 제자인 항경에게 한가지 예언을 하게 된다. 9월 9일 그의 집에 재앙이 있으니 이 재앙을 막으러면 식구마다 산수유 열매를 넣은 주머니를 만들어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녀야하고 집밖에 높을 곳으로 올라가 국화주를 마셔야한다고 하였다. 제자인 항경은 스승의 말을 잊지 않고 9월 9일 집을 비우고 식구들과 함께 뒷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고 난뒤 집으로 돌아오니 집에 있는 모든 가축들이 죽어있었다고 한다. 그 후 사람들은 해마다 9월 9일을 중양절로 그날이 되면 산수유 주머니를 차고 국화주는 마시는 행하였다고 전해진다.

 

옛날 중국에 있는 작은 마을에 한 남자가 살고 있었다. 그는 돈을 벌기위해 살고있던 중국을 떠나 일본으로 떠나게 되었고 일본인의 밑에서 열심히 일을 했다. 일본인에게는 예쁜 딸이 하나 있었는데 중국인 남자는 그 딸에게 반해 서로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하지만 딸의 아버지인 일본인 남자는 중국인 남자가 가난하다는 이유로 둘의 사랑을 반대했다. 이 사실을 안 중국인 남자는 일본인의 딸에게 중국에 다시 돌아가 반드시 부자가 되어올테니 꼭 기다려달라는 말을 남기고 그녀 역시 그를 믿으며 돌아올때 일본에서는 볼수없는 자신이 좋아하는 꽃과 씨앗을 부탁했다. 몇년 후 중국인 남자는 큰 부자가 되어 일본으로 다시 돌아갔는데 사랑하는 그녀는 이미 다른 남자와 결혼을 했고 중국인 남자는 큰 상처를 받고 만다. 그는 그녀를 위해 가져온 씨앗을 땅에 심으며 눈물을 흘렸다. 첫번째 눈물이 땅에 떨어지고 그 땅에서는 흰색 국화가 피어났고 두번째 눈물에서는 노란색 국화가, 마지막 세번째 눈물에 심은 씨앗에서는 빨간 국화가 피어났다고 한다.  

 

크고 작고 다양한 국화 꽃의 다양한 꽃말 

흰색 국화꽃은 주로 장례식장에서 조문시 사용하기는 하지만 하얀색 국화의 꽃말을 성실, 진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감사의 뜻도 가진 국화는 그 모양과 색이 계란과 비슷하여 계란꽃이라는 별명을 가졌고 선물하기에도 적합하다. 노란색 국화는 짝사랑, 실망, 빨간색 국화는 열렬한 사랑을 뜻한다. 

 

국화는 추위에 강한 꽃답게 11월 12월의 탄생화로 알려져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