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

소박한 아름다움을 가진 할미꽃

젤리me 2023. 2. 22. 13:51
반응형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Korean pasque flower

할미꽃은 노고초(老姑草), 백두옹(白頭翁)이라고도 불리며 양지의 산과 들판에서 주로 자란다. 꽃의 뿌리는 굵고 잎은 무더기로 비스듬히 자라 퍼지면서 성장하고 잎은 길고 작은 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할미꽃 식물 전체에 흰털로 덮여 하얀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쑥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덮여있는 털들 덕분에 헷갈리지 않는다. 꽃망울은 타원형의 표면에는 줄기와 마찬가지로 털이 있으나 꽃 안쪽에는 없고 6개의 꽃받침잎을 가진다. 잘 자란 할미꽃의 꽃줄기는 30~40cm이다. 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종이며 때문에 환경부에서 보호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식물이다. 유럽 및 북미 쪽에도 여러 종으로 서식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원종으로 자생하고 있다. 특히 야산의 양지바른 무덤가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벌초를 자주 해주고 사람의 뼈에 든 인산의 영향 등 생장에 이상적인 장소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할미꽃은 꽃이 피기 시작할 때는 줄기가 구부러져 꽃봉오리가 고개를 숙이고 있다가 본격적인 개화가 시작된 후 약 일주일 후가 지나면 직립으로 꽃을 피운다. 이는 꽃가루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비에 젖지 않게 하려는 할미꽃의 생존능력으로 자기 방어 현상이 좋은 것으로 보인다.

 

할미꽃은 약용으로도 효능이 좋은데 특히 신경통에 좋고 설사의 지사제, 해열, 소염 진통에 효과가 있다. 할미꽃의 뿌리는 천연 살충제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할미꽃은 약으로도 쓰이지만 살균작용의 독성이 있으니 꼭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겠다. 또한 할미꽃의 뿌리로 술을 담가 마시기도 하는데 임파선염, 월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신경통 등에 효과가 좋다. 할미꽃은 부리에서 꽃줄기가 나고 꽃봉오리가 열리며 점차 아래로 굽으며 개화하는데 이러한 모양과 꽃의 흰털 때문에 허리가 굽고 머리가 샌 할머니의 모습으로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할미꽃의 영문명으로 라틴어 pulso를 어원으로 따왔는데 종처럼 생긴 모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할미꽃 종류로 2000년 처음 등록된 동강할미꽃 Pulsatilla tongkangensis이 있는데 이 꽃은 동강유역의 절벽지대 일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종으로 보호되고 있다. 할미꽃의 색상으로는 비교적 단조로운 편으로 보통 자주색으로 알고 있으나 다년초와 새로운 교배종의 보급으로 분홍색, 청보라색, 하얀색, 노란색 등의 꽃도 있다.

 

손녀의 슬픔을 위로한 꽃 한송이

옛날 옛적 어느 깊은 산골마을에는 할머니와 어린 두 손녀가 살고 있었다. 큰 손녀는 타고나기를 마음씨가 좋지 못했고 작은 손녀는 마음씨는 곱지만 외모가 예쁘지 못했다. 가난했지만 할머니는 정성으로 아이들을 길렀고 시간이 흘러 두 손녀는 성인이 되었다. 큰 손녀는 가까운 마을의 부잣집으로 시집을 가고 둘째 손녀는 산너머 멀리 있는 마을의 가난한 집으로 출가하게 되었다. 큰 손녀는 홀로 남은 할머니를 혼자 두지 못해 어쩔 수 없이 모셔갔지만 잘 보살피지 못해 굶주리게 했고 할머니는 점점 더 노쇠해져만 갔다. 이런 상황에 서러워진 할머니는 작은 손녀의 집으로 가기 위해 나섰는데 산 너머 멀리에 있는 마을로 가는 길은 험난하기만 했다. 결국 할머니는 산길을 헤매며 가다가 길가에 쓰러져 작은 손녀의 집을 눈앞에 두고 세상을 떠나고 만다. 뒤늦게 이 소식을 알게 된 작은 손녀는 할머니를 찾아 나섰고 이미 세상을 뜬 할머니를 부둥켜안고 매우 슬퍼하였다. 손녀는 가까운 동산 양지바른 곳에 할머니를 모시며 매일같이 찾아가 무덤가를 보살폈는데 이듬해 따뜻한 봄날에 할머니가 묻혀있는 무덤 위에 할미꽃 한송이가 활짝 피어있었다고 한다. 

 

이름처럼 어쩐지 쓸쓸한 느낌을 전하는 꽃말

할미꽃에 꽃말은 공경, 충성, 슬픈기억, 사랑의 굴레, 사랑의 배신, 회상이다. 꽃말에는 이름과 비슷하게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고 소박이 느껴진다. 또 다른 꽃말로는 고개를 숙이고 꽃을 피우는 모습이 수줍어하는 소녀의 마음을 연상한다고 하여 청순한 마음이라는 뜻도 담겨있다.

 

할미꽃은 2월 5일의 탄생화이다.

반응형